<!-- 내용시작 -->
<ul class="tab_tit">
<li class="on"><a href="/cdchelp/ph/ptlcontents/selectPtlConSent.do?menu=F0300&schSno=82" title="선택됨">개요</a></li>
<li><a href="/cdchelp/ph/ptlcontents/selectPtlConSent.do?menu=F0300&schSno=83">현황</a></li>
<li><a href="/cdchelp/ph/ptlcontents/selectPtlConSent.do?menu=F0300&schSno=92">주요결과</a></li>
<li><a href="/cdchelp/ph/ptlcontents/selectPtlConSent.do?menu=F0300&schSno=93">주요성과</a></li>
</ul>
<div class="clin_cts">
<h2>추진배경</h2>
<div>우리나라의 심정지 발생 수는 연간 25,000 명 정도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. 기질적인 심질환의 증거를 확인할 수 없는 급성 심정지 환자(전체의 10~20%)가 유전성(가족성) 부정맥에 속한다. 유전성(가족성) 부정맥은 젊은 연령층에서 급사를 유발하여 사회적,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. 따라서 국내 유전성(가족성) 부정맥 환자 및 가족의 장기적인 임상 자료 수집을 통한 코호트 구축, 환자의 자연사, 예후 및 조기 진단을 위한 관련 유전자 발굴 개발과 이에 근거한 진단, 치료 등의 질환관리기술 개발이 필요하다.</div>
<h2>목적</h2>
<div>국내 유전성(가족성) 부정맥 환자 및 가족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정보 수집을 통해 한국인 특성에 맞는 진단 및 치료 지침 개발</div>
<h2>주요내용</h2>
<ul class="clin_lst">
<li>국내 유전성(가족성) 부정맥 환자 및 가족 등록사업을 위한 임상연구 네트워크 운영</li>
<li>연구 대상자 등록</li>
<li>최초 1회는 3개월, 이후 6개월 단위로 대상자 추적관찰</li>
<li>표준화된 프로토콜에 따른 환자 및 가족 레지스트리 등록 및 DB 운영</li>
<li>생체자원 수집 및 관리</li>
<li>국내 유전성(가족성) 부정맥 환자의 역학 및 임상적 특성 분석</li>
<li>진단지침 및 치료법 개발의 근거자료 마련</li>
</ul>
<h2>사업기간</h2>
<div>2013년 10월 이후 ∼ 계속</div>
<h2>총 사업비</h2>
<div class="col_table">
<table>
<caption>2013년, 2014년, 2015년, 2016년 누계 사업비 정보를 제공</caption>
<colgroup>
<col style="width: 45%;" />
<col style="width: 55%;" />
</colgroup>
<tbody>
<tr>
<th scope="row">2013년 (단년도)</th>
<td>70,000 천원</td>
</tr>
<tr>
<th scope="row">2014년 (1차년도)</th>
<td>80,000 천원</td>
</tr>
<tr>
<th scope="row">2015년 (2차년도)</th>
<td>60,000 천원</td>
</tr>
<tr>
<th scope="row">2016년 (3차년도)</th>
<td>40,000 천원</td>
</tr>
<tr>
<th scope="row">누 계</th>
<td>250,000 천원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/div>
<h2>주관기관 및 책임자</h2>
<div>고려대학교 순환기내과 김영훈 (<a href="tel:02-920-5445">02-920-5445</a>)</div>
</div>
<!-- // 내용끝 -->